one-blog 님의 블로그

정부 정책 정보 등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 2025. 9. 3.

    by. one-blog

    1. 허브 액슬의 정의와 기본 개념

    허브 액슬(axle)은 자전거 휠의 중심을 지탱하는 핵심 축으로, 허브와 프레임, 그리고 베어링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흔히 ‘차축’이라고도 불리는 이 부품은 휠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심을 잡아주며, 동시에 라이더의 체중과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모두 받아내는 구조적 기둥이다. 허브 액슬이 없다면 휠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없고, 베어링도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액슬은 단순한 금속 막대가 아니라, 자전거 주행의 성능과 안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계 요소다. 액슬은 사용되는 허브의 형태, 휠의 용도, 그리고 프레임 규격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규격으로 제작된다.

     

    2. 액슬 구조의 기본 요소

    허브 액슬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의 금속 봉 형태이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설계적 고려가 담겨 있다. 첫째, 액슬의 재질은 대부분 크로몰리 강(Chromoly steel)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며, 고급 휠에서는 티타늄과 같은 경량 고강도 소재가 활용되기도 한다. 둘째, 액슬은 나사산(thread) 이 가공되어 있어, 너트나 볼트와 결합해 휠을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셋째, 액슬은 베어링과 직접 접촉하거나, 베어링을 감싸는 콘(cone) 또는 엔드 캡과 맞물려 회전의 중심을 잡아준다. 즉, 단순한 막대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내구성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고기술 부품이다. 또한 액슬은 고정 방식에 따라 크게 볼트온(Bolt-on), 퀵 릴리스(Quick Release), 쓰루 액슬(Thru Axle) 구조로 나뉜다.

     

     

     

    3. 볼트온 액슬의 구조와 특징

    전통적인 허브 액슬 구조 중 하나는 볼트온 액슬이다. 이는 액슬 양 끝에 나사산이 있어, 너트로 프레임 드롭아웃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이다. 주로 BMX, 싱글 스피드 자전거, 일부 트랙 바이크에서 사용되며, 장점은 단순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이다. 볼트온 액슬은 외부 충격에도 잘 견디고, 탈착 시 추가 장비(스패너 등)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다. 하지만 휠을 교체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비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오늘날 주행 편의성을 중시하는 로드바이크나 MTB에서는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강성과 안정성이 중요한 일부 환경에서는 여전히 선호된다.

     

    4. 퀵 릴리스 액슬의 구조와 발전

    퀵 릴리스(Quick Release, QR) 액슬은 로드바이크와 MTB에 널리 보급된 구조로, 레버 하나만으로 휠을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QR 액슬은 스키어 터너라는 이탈리아인에 의해 발명되어, 경기 도중 빠른 휠 교체를 가능하게 했다. 구조적으로는 액슬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얇은 샤프트가 지나가며, 레버를 닫으면 스프링과 캠 메커니즘이 작동해 프레임 드롭아웃을 압착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탈착이 매우 빠르고 도구가 필요 없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드롭아웃에 단순히 압착되는 방식이므로 강성과 정밀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강한 토크가 걸리는 MTB 다운힐이나 디스크 브레이크 환경에서는 불안정할 수 있다.

     

    5. 쓰루 액슬의 구조와 장점

    최근 고성능 자전거에서 주류로 자리 잡은 구조는 쓰루 액슬(Thru Axle) 이다. 이 방식은 액슬이 허브와 포크, 또는 리어 프레임 드롭아웃을 직접 관통하면서 고정된다. 즉, 단순히 압착하는 QR과 달리 액슬 자체가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쓰루 액슬은 직경이 크고, 프레임과 허브의 결합면이 넓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강한 제동력에도 변형이 적다. 또한 정렬성이 뛰어나 브레이크 로터와 패드 간 간섭이 줄어든다. 단점은 무게가 다소 늘어나고, 휠을 탈착하는 데 시간이 QR보다 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대 로드바이크와 MTB의 추세는 거의 전면적으로 쓰루 액슬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안정성과 성능을 우선시하는 흐름을 반영한다.

     

     

     

    6. 액슬과 베어링의 상호작용

    허브 액슬은 단순히 휠을 고정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다. 베어링과 밀접하게 맞물려 회전 성능을 좌우한다. 컵앤콘(Cup and Cone) 방식 허브에서는 액슬 끝에 콘이 설치되어 베어링 볼과 직접 접촉한다. 이 경우 액슬의 정렬이 조금만 어긋나도 구름성이 크게 저하된다. 반면 실드 베어링 허브에서는 액슬이 베어링 내부를 관통하며, 베어링 외륜과 허브 셸이 고정된다. 즉, 액슬은 베어링의 내륜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다. 따라서 액슬의 직진도, 표면 마감, 강성이 모두 구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액슬이 변형되면 베어링이 한쪽으로 압박을 받아 수명이 줄고, 회전이 뻑뻑해질 수 있다. 이처럼 액슬과 베어링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7. 액슬 규격과 프레임 호환성

    액슬은 프레임과 허브가 맞물리는 지점이므로, 규격 호환성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로드바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프레임은 대부분 12mm 쓰루 액슬을 채택하지만, 일부 MTB는 15mm 또는 20mm 규격을 사용한다. 리어 액슬의 경우 142x12mm, 148x12mm(부스트 규격), 심지어 157x12mm 슈퍼부스트 규격까지 다양하다. 만약 허브 액슬 규격이 프레임과 맞지 않으면 장착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휠셋을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할 때는 반드시 액슬 규격을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변환 어댑터를 제공하는 허브도 많지만, 근본적으로는 프레임 규격과 허브 규격이 일치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

     

    8. 액슬 관리와 유지보수의 중요성

    허브 액슬은 외부 충격과 하중을 직접 받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 마모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컵앤콘 허브에서 액슬은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휘어질 가능성이 있다. 액슬이 휘면 휠 정렬이 틀어지고, 베어링이 비정상적으로 마모되어 결국 회전 저항이 커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허브를 분해해 액슬의 직진도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교체해야 한다. 또한 액슬의 나사산은 녹이 슬거나 손상되기 쉬우므로, 조립 시 구리스(윤활제)를 발라두는 것이 좋다. 쓰루 액슬의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재윤활해야 원활한 체결과 풀림 방지가 가능하다. 액슬 관리 여부에 따라 휠 전체의 수명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9. 자전거 주행 성능에서 액슬의 의미

    허브 액슬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부품이지만, 자전거 주행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강성이 뛰어난 액슬은 휠의 좌우 흔들림을 줄이고, 제동 시 안정성을 높여준다. 또한 액슬 정렬이 정확해야 구름성이 향상되고, 페달링 효율도 개선된다. MTB에서는 거친 지형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로드바이크에서는 고속 주행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결국 액슬은 자전거의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며, 라이딩의 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부품이다. 따라서 액슬의 구조와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기술 지식이 아니라, 실질적인 주행 성능을 높이는 실천적 지혜다.

     

    허브 액슬(axle) 구조와 역할

     

    10. 결론: 허브 액슬 이해의 가치

    허브 액슬은 단순히 휠을 고정하는 축이 아니라, 자전거 성능과 안정성의 핵심 요소다. 볼트온, 퀵 릴리스, 쓰루 액슬 등 다양한 구조가 존재하며, 각각의 장단점은 주행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또한 액슬은 베어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구름성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액슬 관리가 소홀하면 작은 변형이 전체 휠 성능 저하로 이어지지만, 적절한 관리와 선택은 자전거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액슬의 구조와 역할을 깊이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부품 지식을 넘어, 자전거를 올바르게 다루는 기초이자 성능 향상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