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blog 님의 블로그

정부 정책 정보 등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 2025. 9. 12.

    by. one-blog

     

    육아휴직 6+6 제도 2025년 최신 개정사항입니다. 육아휴직 6+6 제도 적용 대상과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육아휴직 6+6 제도란?

    육아휴직 6+6 제도는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돌보기 위해 맞벌이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첫 6개월에 대한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의 100%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존 3+3 부모육아휴직제는 첫 3개월까지만 100%를 지원했지만, 2024년부터 첫 6개월까지 확대되면서 실질적인 소득 보장이 강화되었습니다.

     

     

     

    2025년 육아휴직 6+6 제도 적용 대상

    • 대상 자녀: 출생 후 18개월 이내
    • 지원 조건: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동시 또는 순차 가능)
    • 지원 기간: 부모 각각 첫 6개월
    • 부모 각자 육아휴직 기간: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 단 최소 3개월 이상 사용해야 함
    • 임신 중 육아휴직: 임신 기간에도 제도 적용 가능
    • 비정규직·기간제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 이력 180일 이상이면 신청 가능

     

     

    육아휴직 6+6 월별 상한액 (2025년 기준)

    구분 상한액
    1개월차 250만원
    2개월차 250만원
    3개월차 300만원
    4개월차 350만원
    5개월차 400만원
    6개월차 450만원

    👉 첫 6개월은 통상임금 100%를 보장하며, 월 상한액이 단계적으로 250만 원에서 450만 원까지 인상됩니다.

     

    예시로 보는 수령액 차이

    1. 통상임금 200만원 → 매달 200만원 고정 수령

    2. 통상임금 400만원 → 월별 상한액에 맞춰 250~400만원까지 수령

    3. 통상임금 500만원 → 상한액 전부 적용, 최대 450만원 수령

     

     

     

    육아휴직 6+6 신청 방법

    1. 회사에 최소 30일 전 신청서 제출

    서면 또는 이메일로 기록을 남겨 공식적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2. 고용24 홈페이지 신청

    휴직 시작 1개월 후부터 공동인증서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고용센터 방문 접수도 허용됩니다.

     

     

    고용24 모바일 앱에서도 간편하게 신청 가능하니, 편하신 방법으로 신청하여 주시면 됩니다.

     

     

     

     

    육아휴직 6+6 제도 장점

    1. 부모 동시 육아휴직 가능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2. 경제적 부담 최소화

    소득 상한액이 매월 인상되어 첫 6개월 동안 실질적인 재정 지원 효과가 큽니다.

     

    3. 비정규직·기간제 근로자도 지원

    고용보험 가입 이력 180일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어 사각지대를 최소화했습니다.

     

    2025년 육아휴직 6+6 제도, 한 눈에 알아보기!

     

     

    맞벌이 부모라면 이 제도를 활용해 안정적인 육아 환경과 일·가정 양립을 실현하시길 권장합니다.